Docker를 이용한 Jenkins 설치 및 초기 구성
부산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에서는 2학년 때 전공동아리 프로젝트를 하여 11월 달에 전공동아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를 발표한다.
길다면 긴 시간이지만 우리 동아리에서는 백엔드 인원이 2명이여서 백엔드 리소스가 많이 부족하다. 그래서 쓸모 없는 시간들을 많이 줄여야하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 먹는 요소 중 하나로 배포를 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동아리에는 라떼판다 델타를 사용하고 있고 그리고 개인적인 홈서버가 있다. 우리는 개인적인 홈 서버를 Jenkins서버로 라떼판다를 Deploy서버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서론이 길었지만 이 글에서는 Docker를 활용해서 Jenkins를 설치 및 초기 구성을 해볼 것 이다.
Docker를 설치 했다는 기준으로 글을 작성하였다. (이 글에서 Doker를 설치 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로 작업해주는 것이 불편하여서 docker-compose를 이용하여 구성하겠습니다.
jenkins폴더를 만들 다음 아래에 docker-compose.yml파일을 생성하고 작성해 줍니다.
version: '3.9'
services:
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jdk17
container_name: jenkins
privileged: true
user: root
ports:
- "8090:8080"
- "50000:50000"
volumes:
- "./jenkins_home:/var/jenkins_home"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environment:
TZ: "Asia/Seoul"
마지막으로 아래의 명령어를 작성해 주면 jenkins가 구동이 됩니다.
docker-compose up -d
http://[서버 ip]:8090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jenkins가 접속이 됩니다. 그리고 비밀번호를 작성하라는 창이 나오는데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알 수 있습니다.
docker-compose logs
Install suggested plugins(약 3분정도 걸렸음) > Create First Admin User > Instance Configuration(Jenkins URL에는 자신이 지금 접속한 주소를 적으면 된다.) > 이제 jenkins를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