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서버는 한 곳에 방치해 두고 사용을 합니다. 하지만 서버를 밖에서 배포를 하거나 수정할 일이 생기면 서버를 사용하지 못합니다.
외부에서 접속을 하기 위해 ssh를 사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ssh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apt update를 합니다.
sudo apt update
2. openssh-server를 설치해 줍니다.
sudo apt install openssh-server
3. 설치가 완료된 후 서버 상태를 확인해 줍니다.
sudo systemctl status ssh
4. ssh는 22번 포트로 접속을 진행합니다. 그러므로 방화벽으로 막혀있는 22번 포트를 열어줘야 합니다.
sudo ufw allow ssh
만약 포트포워딩이 되어있다면 다음의 내용을 진행해도 접속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포트포워딩을 하지 않으면 외부에서의 접속이 안 됩니다. 지금부터는 포트포워딩을 진행할 것입니다.
먼저 저는 lgu+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lgu+공유기 기준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만약 다른 공유기를 사용하면 다른 글을 참고해 주세요.)
먼저 공유기 설정을 위해 http://192.168.219.1로 접속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제일 위에 있는 공유기를 선택하여 비밀번호를 입력 후 접속하여 줍니다. (비밀번호는 공유기 뒤편에 있습니다.)
DMZ를 설정하여 외부 아이피로 들어오는 요청을 192.168.219.100으로 넘어가게 해 주겠습니다. 그럼 노트북의 내부 ip를 192.168.219.100으로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다음 순서는 우분투에 192.168.219.100을 고정 ip로 설정해 주겠습니다.
1. 인터넷 관련 설정을 하기 위해 net-tools를 설치해 줍니다.
sudo apt install net-tools
2.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하고 싶은 이더넷의 이름을 확인합니다.
ifconfig
3. 아래의 파일을 수정하여 고정아이피를 설정해야 합니다.
sudo vi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수정 파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yaml 파일이므로 들여 쓰기는 띄어쓰기 2번으로 해야 한다.)
network:
version: 2
ethernets:
enx00e04ce304e1:
addresses: [192.168.219.100/24]
gateway4: 192.168.219.1
nameservers:
addresses: [1.214.68.2, 61.41.153.2]
ethernets아래에 있는 것은 ifconfig로 확인하였던 이더넷 이름을 작성하면 됩니다.
addresses는 고정 ip로 설정하고 싶은 ip를 적습니다. (/24는 그대로)
gateway4는 192.168.219.1로 설정합니다.
nameservers아래에 있는 addresses는 DNS서버가 적혀있는 것 그대로 적으시면 됩니다.
다 작성하였으면 esc를 누른 후 :wq로 작성을 종료하시면 됩니다.
4. 아래의 명령어로 적용하고 ifconfig명령어를 작성하면 아래와 같이 고정 ip할당이 완료됩니다.
sudo netplan apply
5. 다음과 같이 ssh 접속이 되면 성공입니다!
원격지 ip는 위의 lgu+ 홈에 IP주소옆의 ip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ssh [사용자 계정]@[원격지 ip]
마지막으로 이제 노트북을 켜서 사용할 일이 없으니 노트북을 덮어도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HandleLidSwitch=suspend를 HandleLidSwitch=lock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주석 제거 꼭 해주세요)
sudo vi /etc/systemd/logind.conf
재시작 명령어까지 적어주면 노트북을 덮어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service
'Ubuntu > 홈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 쓰는 노트북을 이용한 홈 서버 만들기(1) - Ubuntu 설치 (0) | 2024.04.27 |
---|---|
안 쓰는 노트북을 이용한 홈 서버 만들기(0) - 홈 서버를 만들게 된 계기 (0) | 2024.04.27 |